* 출처 : 코리아타임즈
"휴대폰을 파는 제가 봐도 제조사•통신사가 주는 리베이트(판매 보조금)가 엄청납니다. 그 돈이 다 어디서 나오겠어요? 결국 소비자 주머니죠."
22 일 경북 의 중소도시에서 휴대전화 대리점을 한다는 A(38)씨가 본지에 전화를 걸어왔다. A씨는 2009년부터 휴대폰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. 그는 "통신사와 제조사가 짜고 전화기 가격을 부풀린 후, 소비자에게 할인해주는 것처럼 생색을 낸다는 기사가 100% 옳다"며 "나를 포함해 모든 판매 대리점이 진흙탕 싸움을 벌이고 있다"고 고백했다.
“보조금 30만원은 기본… 스마트폰 제값 주고 사면 바보"
A씨는 "출고가 90만원짜리 스마트폰은 실상 60만~70만원짜리라고 봐야 한다"라고 말했다. 근거는 이렇다. 그는 일단 전화기 제조사에서 약 15만원의 보조금(판매장려금)을 받는다. 여기에 통신사 본사가 7만~8만원 정도 돈을 보태준다. 두 보조금은 항상 나오기 때문에 출고가에서 이만큼 빼야 한다는 얘기다.
이것이 끝이 아니다. 통신사 지역본부와 지사가 각각 2만~4만원씩의 보조금을 또 준다. 이런저런 보조금을 합치면 30만원 정도가 된다. 여기에 요금할인 등 각종 할인이 보태져 소비자는 90만원짜리 스마트폰을 16만~25만원 정도에 산다.
이렇게 많이 깎아주고도 남는 게 있을까. 비결은 요금제에 있다. 통신사들은 스마트폰 할인의 대가로 4만5000원 이상의 고가 요금제에 2년간 가입하도록 의무화한다. 2년이 지나면 통신사들은 할인금액을 뽑고도 남는다.
A씨는 "월말이면 목표실적을 맞추기 위해 보조금이 더 올라간다"며 "보조금을 줄이고 애초에 출고가를 낮춰야 한다"고 말했다.
처 음부터 전화기 가격을 싸게 매기는 것과 보조금으로 할인해주는 것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. A씨는 "보조금은 지역•시기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소비자가 피해를 볼 수 있다"면서 "지역에 따라 같은 모델의 판매 가격이 10만원 넘게 차이가 난다"고 말했다. 통신사가 특정 지역의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보조금을 높였기 때문이라고 그는 설명했다.
◆칼 빼든 정부, 보조금 거품 없앨까
보 조금의 또 다른 문제는 소비자가 그 규모를 알 수 없다는 점이다. 각 회사는 보조금을 대외비로 분류한다. 소비자는 어디에 가면 얼마를 어떻게 할인받을 수 있는지 알 방법이 없다. A씨는 "일부 판매점에서는 본사에서 공짜로 받은 전화기를 30만원 넘게 받고 팔기도 한다"며 "사실상 사기에 가깝지만 소비자는 알 방법이 없다"고 했다.
공정거래위원회 는 21일부터 삼성전자 • LG전자 • 팬택 등 스마트폰 제조사와 SK텔레콤 • KT •LG 유플러스 등 통신 3사에 대한 현장 조사를 시작했다. 제조사 관계자는 "공정위가 휴대전화 공급물량, 출고가, 시장판매가에 대한 자료를 받아갔다"며 "휴대전화 출고가를 집중적으로 조사했다"고 했다. 공정위는 제조사와 통신사 임원을 불러 '출고가 부풀리기' 등 부당행위가 있었는지, 제조사와 통신사들 사이에 가격담합이 있었는지도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.
공정위는 지난 3일부터 기획재정부 , 방송통신위원회 와 함께 통신비 태스크포스(TF)를 만들어 가계 통신비 부담을 줄이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.
'유용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쉐비케어 WOW 페스티벌 무상점검 (0) | 2011.03.31 |
---|---|
봄맞이 할인행사 `풍성`..주말쇼핑 어디가 좋을까 (0) | 2011.03.26 |
속터지는 아이폰 배터리 교체 DIY 해결 (0) | 2011.03.20 |
휘발유값 줄이는 운전 비법 (0) | 2011.03.11 |
V3엔진 장애 이렇게 대처하세요 (0) | 2011.03.11 |